▣교수소개▣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이명훈 교수는 한양대학교 도시공학과를 졸업하고, 일본 츠쿠바대학교에서 도시.지역계획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주요저서로는 토지이용계획론, 도시개발론 등이 있으며, Journal of the City Planning Institute of Japan, URBAN HOUSING SCIENCES, JOURNAL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JAPAN, 국토계획, 도시행정학보 등 국내외 학술지에 100여편의 논문을 발표한 바 있다.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논문우수상,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공로상 등을 수상했다.
서울시 도시계획위원회 심의위원, 경기도 도시계획위원회 심의위원을 역임했으며, 현재 국토교통부 중앙도시계획위원회 심의위원, 해양수산부 중앙항만심의위원회 위원, 한국도시계획가협회 부회장, 한국도시재생학회 학회장, 한국도시정책학회 부회장, 마장축산물시장 도시재생 총괄코디네이터 등으로 활동하고 있다.
담당과목은 도시재생론, 도시성장관리, 도시공간계획론, 토지이용계획특론, 도시및부동산관계법규 등이다.
▣ 학력 ▣
한양대학교 공학사
한양대학교 공학석사
츠쿠바대학교 도시지역계획학 석사
츠쿠바대학교 도시지역계획학 박사
▣ 경력 ▣
1999 ~ 현재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교수
2019 ~ 현재 성동구 규제개혁위원회 위원장
2019 ~ 현재 한국재생학회 학회장
2015 ~ 2019 국토교통부 중앙도시계획위원회 위원
2018 ~ 현재 국무총리실 도시재생실무위원회 위원
2018 ~ 현재 서울시 도시재생위원회 위원
2017 ~ 현재 해양수산부 중앙항만정책심의회 위원
2016 ~ 현재 국토교통부 기업형임대주택통합심의위원회 위원
2014 ~ 현재 일본 츠쿠바대학 객원교수
2011 ~ 2013 한양대학교 대학평의원회 평의원
2011 ~ 2013 경기도 도시계획위원회 위원
2009 ~ 2011 서울시 도시계획위원회 위원
▣ 주요저서 ▣
토지이용계획론
도시개발론
▣ 수상경력 ▣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우수논문상(2001~2012)
▣ 학회활동 ▣
한국도시재생학회 학회장
한국도시정책학회 부회장
한국도시계획가협회 부회장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상임이사
▣ 연구관심분야 ▣
도시재생, 토지이용계획 및 정책, 도시개발관련 법규, 성장관리
▣ 주요논문(최근 3년) ▣
Social Network Analysis of the Jangwi Urban Regeneration Community (SUSTAINABILITY, 제11권, 제1485호, 2019. 8.)
Developing Sustainable City Indicators for Cambodia through Delphi Process of Panel Surveys (SUSTAINABILITY, 제11권, 제3166호, 2019. 5.)
부동산경매절차상매각가율에미치는영향요인 (도시행정학보, 제31권, 제4호, 2018. 12)
부주민주도형 소규모 지주공동체사업의 현물출자에 따른 과세 제도에 관한 연구: 민법상 조합형태 사업 중심으로 (도시행정학보, 제31권, 제4호, 2018. 12)
주택재건축사업 토지분할 갈등 개선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개발학회지, 제30권, 제5호, 2018.12)
도시선형공원에서의 만족도 영향요인에 관한 거주자와방문자의 차이 연구- 경의선숲길 연남동구간을 대상으로 - (국토계획, 제53권, 제5호, 2018.10)
공급자와 수요자 측면 분양형 호텔 리스크 관리방안중요도 분석 (국토계획, 제53권, 제5호, 2018.10)
The Process of Building Community Resilience in Residential Regeneration Activities in Jangsu Village, Seoul, Korea (JOURNAL OF ASIAN ARCHITECTURE AND BUILDING ENGINEERING, 제17권, 제3호, 2018.9)
친환경 공동주택의 환경요인과 주거만족도 및 거주의도 -서울시 뉴타운 시범지역을 중심으로 (대한부동산학회지, 제36권, 제3호, 2018.9)
도시재생을 위한 시민참여 교육프로그램의 운영현황과 개선방안 연구 (한국지역개발학회지, 제29권, 제4호, 2017. 12.)
지역사회 연계를 통한 리질리언스 구축 가능성 (한국지방행정학보, 제14권, 제3호, 2017. 12.)
거주자 및 상인 집단의 도시재생사업 만족도에 관한 연구 (주택도시연구, 제7권, 제3호, 2017. 12.)
거리가게(노점) 특화거리 조성사업에 따른 상업가로 변화 (국토계획, 제52권, 제7호, 2017. 12.)
노후저층주거지 재생과정에서 지역사회(Community) 활동 간 관계구조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제52권, 제7호, 2017. 12.)
주택재건축사업 토지분할청구 갈등원인 연구 - 사례 및 판례 중심으로 - (집합건물법학, 제24권, 2017. 11.)
최초 주택구입자 주거 이동시 주택규모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집합건물법학, 제22권, 2017. 11.)
상인 연령별 영업환경만족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종로구 역사문화거리를 중심으로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8권, 제10호, 2017. 10.)
지하철 2호선 역세권 별 유출입특성과 역세권 토지이용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개발학회지, 제29권, 제3호, 2017. 09.)
지속가능하고 회복력 있는 도시개발 및 관리 평가지표: UN 지속가능한 발전목표(SDGs)의 목표 11을 중심으로 (한국지역개발학회지, 제29권, 제3호, 2017. 09.)
도시재생사업 평가요소에 대한 주민-전문가 간 인식차이에 관한 연구- 서울시 도시재생활성화지역을 대상으로 (도시설계, 제18권, 제3호, 2017. 06.)
사회적경제조직의 네트워크 효과에 따른 지역사회 영향 분석 : 성수동 소셜벤처 밸리를 중심으로 (한국지역개발학회지, 제29권, 제2호, 2017. 06.)
공익사업 해제지구의 실증분석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제52권, 제3호, 2017. 06.)
도시재생사업의 참여주체별 만족도에 대한 요인분석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제33권, 제6호, 2017. 06.)
근현대 건축물의 재생 및 활용을 위한 지역주체의 참여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제33권, 제6호, 2017. 06.)
분양형 호텔의 수익률 영향요인 분석 및 리스크 관리방안 (부동산정책연구, 제18집, 제1호, 2017. 05.)
최초 주택구입자의 주거 이동과 선택에 관한 연구 (대한부동산학회지, 제35권, 제1호, 2017. 03.)
지역의 건축자산 보전 및 활용체계 구축방향에 관한 연구 - 일본의 가나자와 마치야 사례를 중심으로 - (국토계획, 제52권, 제1호, 2017. 02.)
Conservation Management of Historical Assets Through Community Involvement (JOURNAL OF ASIAN ARCHITECTURE AND BUILDING ENGINEERING, 2017. 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