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수소개▣
이수기 교수는 2012년 9월부터 한양대 도시공학과 부교수로 재직 중이며 한양대학교 도시공학과 학사와 석사를 취득하고 미국 Georgia Institute of Technology 도시건축대학에서 도시 및 지역계획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미국 오하이오주 Cleveland State University에서 조교수와 부교수 그리고 도시계획석사 프로그램 Director를 역임하였다. 주요 관심분야는 토지이용과 공간구조(land use and urban spatial structure) 분석, 스마트 성장과 뉴어바니즘(smart growth and new urbanism), 도시형태분석(urban morphological analysis), 보행 및 가로활력과 보행자 교통사고, 도시재생과 도시설계(urban regeneration and urban design), 토지이용-교통-환경-공중보건 통합연구, 대도시권 공간분화와 성장관리 등이다.
구체적인 연구 주제는 도시의 건조환경이 보행행태에 미치는 영향 분석, 도시의 물리적 특성이 신체활동과 건강에 미치는 영향, 보행자 교통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물리적 요인, 지속 가능한 도시재생을 위한 사회적 자본의 역할, 도시설계의 효과분석을 위한 정량적 지표개발, GIS와 Space Syntax를 이용한 도시형태 분석, 빅데이터를 활용한 도시공간구조 분석, 대도시권 내부의 공간분화현상과 공간의 쇠퇴와 성장에 관한 연구 등이다. 현재 미국 "Journal of Planning Education and Research" Editorial Board(편집위원), “International Journal of Urban Sciences” 편집위원, "국가정책연구" 편집위원, “지역개발연구” 편집위원, “국토도시공간연구” 편집위원,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국제위원회 부위원장, 한국도시설계학회 학술위원회 위원 등 학술활동을 하고 있다.
▣ 학력 ▣
박사(2005), 미국 Georgia Institute of Technology, Atlanta, GA 도시 및 지역계획학과
석사(2004), 미국 Georgia Institute of Technology, Atlanta, GA 도시 및 지역계획학과
석사(1997), 한양대학교 공과대학 도시공학과, 공학석사
학사(1994), 한양대학교 공과대학 도시공학과, 공학학사
▣ 경력 ▣
2012.09 ~ 현재 한양대학교 공과대학 도시공학과, 부교수
2011.08-2012.08 Cleveland State University, Cleveland, OH, Dept. of Urban Studies 부교수
2011.09-2011.12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객원교수 (Visiting Professor)
2010.08-2012.08 Cleveland State University, Cleveland, OH, M.S. in Urban Studies, Program Director
2005.08-2011.08 Cleveland State University, Cleveland, OH, Dept. of Urban Studies 조교수
2005.01-2005.05 Georgia Institute of Technology, City &Regional Planning, 강사
1999.08-2005.01 Georgia Institute of Technology, City &Regional Planning, 강의/연구 조교
1997.11-1999.06 국토연구원, 자원환경연구실, 연구원
1996.03-1997.02 한양대학교 도시공학과 연구실 연구조교
▣ 주요저서 ▣
2015. The New American Suburb: Poverty, Race and the Economic Crisis (공저), Farnham: Ashgate.
2015. 지역 및 도시경제학 (공저), 홍문사
2015. 토지이용계획론(4정판) (공저),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편저. 보성각
▣ 주요논문 ▣
2016. 하재현, 이수기. API 경로안내 정보를 활용한 서울시 대중교통 서비스 취약지 분석-고용 중심지로의 이동성을 중심으로 (forthcoming)
2016. 조혜민, 이수기. 보행목적별 보행활동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근린환경 특성분석: 주관적 인지환경과 객관적 측정환경의 차이를 중심으로(forthcoming)
2016. 하재현, 이수기. 스마트카드 자료를 활용한 통근통행 추정과 통근네트워크 구조분석- 가구통행실태조사자료와 비교검증을 통한 활용가능성을 중심으로 (forthcoming)
2016. 박철영, 이수기. 가로환경 특성이 보행자 교통사고에 미치는 영향 분석-가로 세그먼트 분석단위와 공간통계모형의 적용. 한국도시설계학회지, 17(3): 105-121.
2016. 서지민, 이수기. 서울시 보행자 교통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물리적 환경요인에 관한 연구: 2014 TAAS자료를 중심으로. 국토계획, 51(3): 197-216.
2016. 이창관, 이수기. 서울시 주거지의 근린환경특성이 개인의 신체활동과 건강수준에 미치는 영향 분석-국민건강영양조사(2007~2012) 자료를 중심으로. 국토계획, 51(3): 217-239.
2016. Woo, A. and Lee, S. Illuminating the Impacts of Brownfield Redevelopments on Neighboring Housing Prices: Case of Cuyahoga County, Ohio in the US. Environment and Planning A. 48(6): 1107-1132.(SSCI)
2016. 이수기, 고준호, 이기훈. 근린환경특성이 보행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분석: 서울서베이 2013년 자료를 중심으로. 국토계획, 51(1): 167~185.
2015. 유치선, 이수기. 근린환경, 사회적 자본, 그리고 커뮤니티의 사회적 지속가능성: 인과관계에 관한 탐색적 연구. 국토계획, 50(7): 5~23.
2015. Sung, H. and Lee, S. “Residential Built Environment and Walking Activity: Empirical Evidence of Jane Jacobs’ Urban Vitality”.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D, 41:318-329.(SSCI)
2015. 이수기, 주미진, 하재현. 수도권 1기 신도시 통근통행특성과 공간구조의 변화(1996~2010): 자족성과 중심성 분석을 중심으로. 국토계획, 50(5), 5~23.
2015. 하재현, 이수기. “텍스트마이닝 기법과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토도시계획 분야 연구동향 분석: 한국의 국토계획과 미국의 JAPA를 중심으로(1998~2014). 국토도시공간연구, 10(1), 12~24.
2015. 유치선, 이수기. 대한제국 한성 도시개조사업의 재평가: 근대도시계획의 보편적 특성을 중심으로. 국토계획, 50(3), 5~22.
2015. Sung, H., Lee, S. and Cheon, S. “Operationalizing Jane Jacobs’ Urban Design Theory: Empirical Verification from the Great City of Seoul, Korea”. Journal of Planning Education and Research, 35(2), 117-130.(SSCI)
2015. 박선주, 이수기. 한국의 환경산업 현황 및 지역별 상대적 경쟁력 분석: 변이-할당 분석을 중심으로. 국토계획, 50(2): 211~226.
2014. 문동진, 이수기, 홍준현. “산업구조의 다양성과 지역 경제 성장: Jacobs의 산업다양성 이론을 바탕으로”. 정책분석평가학회보, 24(4): 35-66.
2014. 이수기, 현은령, 김수민, 이윤성, 유치선. “신체활동을 유도하는 건강증진계단의 참여촉진 디자인 요소 분석: 서울시청 시민청 가야금 건강계단을 중심으로”. 디자인지식저널, 32:107-117.
2014. 이수기, 이윤성, 이창관. “보행자 연령대별 보행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가로환경의 특성분석”. 국토계획, 49(8): 91-105.
2014. 현은령, 이수기. “커뮤니티 매핑 기술을 활용한 과학기술 및 디자인융합 STEAM 프로그램의 효과”. 디자인지식저널, 32:199-208.
2014. 성현곤, 이수기, 천상현. “주택유형과 대중교통 접근성의 불균등 요인이 통행목적별 보행활동에 미치는 영향분석”. 국토계획, 49(10): 65-82.
2014. Sung, H., Lee, S. and Jung, S., “Ident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bjectively Measured Built Environment and Walking Activity in the High-Density and Transit-Oriented City, Seoul, Korea”. Environment and Planning B, 41(4): 637-660.(SSCI)
2014. 이수기, 성현곤, 최막중. “고속철도 역세권 복합용도개발을 위한 이용자의 시설선호도 분석”. 국토계획, 49(6): 211-224.
2014. 이수기, 김수민, 김선아, 이창관, 현은령. “신체활동 친화적인 건강증진 계단 디자인을 위한 사전방향성 연구: 국내외 사례와 이용자 행태 및 디자인 선호도 분석을 중심으로”. 디자인지식저널, 31: 293-309.
2014. Thanousorn, V., Lee, S. and Choi, C. “Transformation of the Urban Form in Vientiane Capital, Laos in the Perspectives of Politics and Policies”. Journal of Korea Planners Association, 49(4):37-54.
2014. 오주택, 이수기, 이용철. “신호교차로의 교통사고 요인에 관한 연구: 3지 교차로를 중심으로”. 국토도시공간연구 9(1): 35-45.
2014. Sung, H., Choi, K., Lee, S. and Cheon, S., "Exploring the Impacts of Land Use by Service Coverage and Station-Level Accessibility on Rail Transit Ridership”. Journal of Transport Geography, 36C: 134-140.(SSCI)
2014. 성현곤,이수기,천상현. “보행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커뮤니티 물리적 환경의 조절효과: 서울시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도시설계학회지, 15(2): 173-189.
2014. 성현곤, 최막중, 이수기. “장거리 통행의 교통수단선택 결정요인: 승용차 대비 고속철도를 중심으로”. 국토계획 49(2): 245-257.
2013. Lee, S., Choi, C. and Im, W., “Metropolitan Growth Patterns and Community Disparities: Insights from the State of New Jersey”. Cities: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Urban Policy and Planning, 30: 149-160.(SSCI)
2011. Lee, S., “Metropolitan Growth Patterns and Socioeconomic Disparity in Six U.S. Metropolitan Areas 1970-2000”. International Journal of Urban and Regional Research, 35(5): 988-1011.(SSCI)